플라자 합의 완벽히 이해하기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2018. 10. 11. 18:43투자와 경제/부동산

반응형

플라자 합의 1. 배경

 

플라자 합의 배경 : 미국 무역적자

일본과 달리 미국은 대규모 무역 적자를 기록하였고,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 플라자 호텔에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영국 정상이 모여
미국 달러는 평가절하하고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는 평가절상하기로 합의했다.

이로 인해 마르크화와 엔화는 평가절상되었지만
달러 가치가 떨어져 1987년의 달러 가치는 
1985년의 약 70%밖에 되지 않았다.

- 이재범, 김영기 '부동산의 보이지 않는 진실'

 

플라자 합의 결과,

일본과 독일의 수출 경쟁력은 하락하고

미국의 수출 경쟁력은 상승했습니다.

 

플라자 합의 결과 : 미국 수출 경쟁력 상승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1985년 9월 22일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주요 5개국 재무장관이 뉴욕 플라자호텔에 모였습니다.

 

합의 내용은 “달러화 가치를 내릴 수 있도록 

서로 노력하고 대외 불균형 축소를 위해 재정 통화정책에 공조한다”는 단 두 줄입니다.

 

이 영향으로 달러당 260엔대였던 것이 1987년 말에는 122엔대,

1995년 4월에는 79.75엔까지 떨어졌다. 

잃어버린 20년이라고 불린 일본 경제 비극의 출발점이 바로 플라자합의다.

 

플라자 합의 2. 일본의 대응

 

일본 기업들의 수출경쟁력이 약화되자

일본 정부는 여러 가지 정책을 사용했습니다.

 

플라자 합의 이후 일본 대응

일본은 금융완화법을 통해 대출을 더 쉽게 받을 수 있게 했다.
이렇게 넘쳐난 유동성 자금은 주식과 부동산으로 몰렸다.

때마침 전 세계적으로 경제 혼란이 가중되며
해외 투기 자금이 보다 안전한 일본으로 몰려들었다.

점화된 성냥불은 무섭게 타오르기 시작했다.
부동산과 주식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올랐다.

- 이재범, 김영기 '부동산의 보이지 않는 진실'

 

일본이 운도 없었던 게

하필 저 시기에 해외 투기 자금이 일본으로 들어와서

버블을 더 키웠습니다.

 

플라자 합의 : 버블의 시작

 

당시 버블은 엄청났습니다.

1988년 일본 기업의 시가총액을 보면

상황이 어땠는지 유추가 가능합니다.

 

플라자 합의 3. 1988년 시가총액

 

플라자 합의 이후 일본 주식시장

1988년 시가총액을 보면, 1위가 일본의 NTT였을 뿐만 아니라
상위 10개 기업 중에 미국의 IBM과 엑슨모빌을 제외하면
일본 기업이 무려 8개나 되었다.

이런 배경에는 전 세계 수출을 통해
무역흑자를 기록하던 일본은 높은 경제성장률이 둔화되면서
정부가 기준 금리를 떨어트려
은행에 돈이 쌓이고 있었던 이유도 한몫했다.

일본 은행은 대출 기준을 대폭 완화하고
정부는 1984년 '투금계정'이라는 불법계정을 합법화해서
자본이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고 기업들이 증권사에 돈을 넣고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할 수 있게 만들었다.

- 이재범, 김영기 '부동산의 보이지 않는 진실' 

 

현재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을 보면

일본 기업은 없습니다.

 

1위 : 애플

 

 

2위 : 마이크로소프트

 

3위 : 구글

 

4위 : 아마존

 

5위 : 테슬라

 

 

6위 : 메타

 

7위 : 버크셔 해서웨이

 

8위 : 엔비디아

 

9위 : TSMC

 

10위 : JP모건

 

플라자 합의 4. PER

 

당시 PER가 60을 넘었다.

전 세계 시가총액 순위 1위까지 했던 
NTT는 정부에서 민영화하고자 공모했을 때의
상장가격이 120만 엔이었지만
이틀 만에 25% 상승하고 2주 후에 240만 엔,
1989년에 400만 엔까지 오른 덕분이었다.

은행들은 개인에게 대출을 못해줘서 안달이었다.
토지 가격의 200%까지 담보가 인정되었다.
도쿄지가는 1987년에 비해 1988년에는 무려 3배나 폭등했다.
토지 가격이 오르니 더 많이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100년 만기 대출 상품까지 나왔다.

- 이재범, 김영기 '부동산의 보이지 않는 진실'

 

심각한 버블 징후가 여럿 보입니다.

 

1) PER가 60을 넘었다.

 

PER가 굉장히 높습니다.

2019.06.07 - [투자와 경제/경제용어] - 당신이 모르는 PER(주가수익비율)의 모든 것

 

당신이 모르는 PER(주가수익비율)의 모든 것

오늘은 P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소외주 투자 전략 : "PER이 낮다." 'PER이 낮다'는 의미는 회사가 높은 수준의 이익을 거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박한 평가를 받고 있어 주가가 낮은

moneypipelines.co.kr

 

2) 토지 가격의 200%까지 담보가 인정되었다.

 

이게 말이 되는 건가요?

어떻게 토지 가격의 200%까지 담보가 될 수 있는 건가요?

 

3) 100년 만기 대출 상품까지 나왔다.

 

https://youtu.be/-ZDQFdiKxKQ

정준하 - 어이가 없네

당시는 100세 시대도 아닌데,

100년 만기 대출 상품이라니

어이가 없습니다. 

 

은행이 대출을 돌려받을 생각이 없었던 거 아닐까요?

 

플라자 합의 5. 버블이 꺼지다.

 

버블이 꺼지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던 일본 버블은
주식에서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는 말처럼
어느 순간 걷잡을 수 없이 추락했다.

1990년 새해 벽두부터 갑자기 바벨탑이 무너지듯
4만 포인트를 뚫어버릴 듯했던 
일본 니케이 지수가 미친듯이 추락한다.

1989년에 3만 8,915포인트이던 니케이 지수는
1990년 말 2만 3,848포인트까지 폭락했다.

이게 끝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추락한 니케이 지수는 2년 만에
반토막이 난 후 2003년에는 8,000포인트대까지 떨어졌다.

- 이재범, 김영기 '부동산의 보이지 않는 진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습니다.

 

특히, 가치보다 너무 비싼 가격에 거래되는 기업은

반드시 겪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변하지 않는 진리입니다.

 

플라자 합의 6. 버블 이후 

 

1) 임금 하락

 

일본 기업의 수익이 약화되면서

일본 직장인들은 임금 하락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1990년대에 들어서며

급여 상승률은 눈에 띄게 감소했고,

2000년대는 거의 오르지 않은채 정체되었습니다.

 

그대로 유지되었다면 그나마 다행이겠지만,

실제로는 상여금 감소 등으로 급여가 줄어든 사람이 많았습니다.

 

2) 자산 가격 하락

 

부동산 시가총액은 1990년 정점과

2012년을 비교할 때 약 1,200조 엔의 자산가치가 하락했습니다.

 

참조 : 구글

 

마찬가지로 주식 시가총액도

버블 시기의 고점에서 최대 300조 엔이 하락했습니다.

 

부동산 시가총액과 주식 시가총액을 합하면

자산 가격이 1,500조 엔이나 감소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자산 가격이 하락한 데 그치지 않습니다.

 

일본은 거액의 부채를 떠안게 되었습니다.

 

일본 경제 침체는 이 부채를 갚는데 걸린 시간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은 엄청난 부채를 갚는 시간이었습니다.

 

기업도 개인도 막대한 부채가 생기면

새로운 소비와 투자를 피하게 됩니다.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면

주식이나 부동산이 추가로 하락해 디플레이션이 심화되는 부의 악순환이 발생합니다.

 

참조

- 아베 슈헤이, 저성장도 기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