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477)
-
사와카미 아쓰토 "이제는 장기투자의 시대다."
뚝심의 농경형 투자가, 사와카미 아쓰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와카미 아쓰토 펀드의 투자원칙 3가지 (1) 샐러리맨의 자금만 받는다. 사와카미 아쓰토는 샐러리맨을 부자로 키우겠다는 신념 때문에 900억 엔 가까운 기관자금을 거절한 장본인으로 유명하다. (2) 백화점식 펀드운용은 지양한다. 투자철학이 분명하다면 펀드가 여러 개일 이유는 없다. 반면, 우리나라는 펀드가 너무 많다. 펀드가 너무 많아서 이를 판매하는 직원도 펀드에 대해 잘 모른다. 따라서, 직접 공부해서 펀드를 골라야 한다. 당신의 월급이 소중하다면 반드시 공부하여 투자를 해야 한다. (3) 판매사 없이 직접 판다. 이렇게 하면 판매수수료를 줄일 수 있다. - 펀드 선택 시 주의사항 펀드를 고를 때 비용이 작은 펀드를 골라야 한..
2019.10.20 -
[유익한 독후감] 식사가 잘못됐습니다 - 마키타 젠지
식사가 잘못됐습니다 1. 탄수화물을 끊지 못하는 이유 선조들의 뇌에는 '혈당치를 지나치게 낮추면 안 된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탄수화물을 섭취하라'라는 지령이 깊이 뿌리박혀 있다. 우리도 그것을 그대로 물려받았다. 채소나 생선을 먹지 못하는 사람은 있어도 밥이나 라면이 싫다고 하는 사람이 없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다. 즉 살아남기 위해 우리 몸은 '탄수화물을 섭취하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 마키타 젠지, 식사가 잘못됐습니다. 당신이 탄수화물을 좋아하는 이유는 분명합니다. 선조들은 굶는 일이 많았고, 위기가 일상화되어 있어서 항상 탄수화물을 섭취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그대로 물려받았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다른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이 사실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식사가 잘못됐습니..
2019.10.20 -
사회적 촉진이 발생하는 이유
1. 사회적 촉진의 정의 다른 사람의 존재 때문에 사람들이 아무도 없을 때보다 더 빠르게 그리고 더 잘 임무를 수행하는 현상을 말한다. 타인과 협력하거나 경쟁하지 않을 때에도 단지 타인이 곁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행동이 변한다. 2. 사회적 촉진이 발생하는 이유 1) 타인이 집중을 방해하기 때문에 2) 타인이 인상관리 행동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우리는 타인에게 좋게 보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3. 사회적 촉진이 반드시 낳은 결과를 가져 오는가? 그의 견해에 따르면, 이는 과제의 복잡성 또는 사람들이 그 일로 평가받는 상황에 달려 있었다. 너무 쉽거나 이전에 수차례 해본 과제라면 관중의 존재는 성과를 촉진시킨다. 하지만 과제가 어렵거나 과제에 새로운 것을 배우는 과정이 포함된다면 관중의 존재는 성과를..
2019.10.13 -
정체성 변화가 중요한 이유
우리는 뭔가를 개선하고자 할 때 정체성 변화를 생각하지 않는다. 그저 이렇게 생각할 뿐이다. "날씬해지고 싶어(결과), 이번 다이어트를 계속하면 날씬해질 거야(과정)"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이 해야 할 행동만 생각한다. 자신을 움직이게 하는 믿음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는다. - 제임스 클리어,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작심삼일을 반복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우리는 우리를 움직에게 할 믿음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진정한 행동변화는 정체성 변화에 있다. 1) 목표는 '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독서가가 되는 것'이다. 2) 목표는 '마라톤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달리기를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3) 목표는 '악기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음악을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행동을 ..
2019.10.01 -
자기결정권이 없는 삶이란 노예나 별반 다름없다.
구글의 창업자 래리 페이지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직원들의 자율성과 통제권이라고 합니다. 생각의 비밀의 저자 김승호 회장님의 이야기와 맥락이 비슷합니다. 자기결정권이 없는 삶이란 노예나 별반 다름없다. 인간의 행복은 자기가 스스로 결정할 것이 얼마나 많으냐에 따라 결정된다. 우리가 돈을 벌려는 이유도 사실은 자기결정권의 확보를 위한 것이다. 쉬고 싶을 때 쉬고, 하고 싶은 것을 하고, 하기 싫은 것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 중에 상당히 많은 것들이 돈과 연결되어 있다. 거의 모든 것이 돈과 연결되어 있다. 물론 돈으로도 얻지 못하는 여러 상황들이 있으나, 재정적 자립이 사람의 삶을 얼마나 많이 지배하는지를 생각해보면 과히 틀린 말도 아니다. 하지만 많은 돈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도 자기결정권을 제대로 사용..
2019.09.30 -
배움은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배움은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 결과없이 평생 이어지는 강좌나 찾아다니고 자격증이나 수집하는 것, 즉 배움이 삶에서의 목표가 된 사람은 스스로 혼자 무엇인가를 이루거나 남을 이끌 수 없다. 배움은 스스로 독립적으로 생각하고 결과를 만들기 위함이어야 가치를 발휘한다. - 김승호, 생각의 비밀 배우는 즐거움을 얻는 게 취미라면, 상관없다. 하지만, 배움을 통해 삶을 바꾸고 싶다면,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독서도 마찬가지다. 책을 읽고 나서 책의 유익한 내용을 내 삶에 적용하지 않는다면, 독서 전과 후 달라지는 게 크게 없다. 항상 실행은 중요하다.
2019.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