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99)
-
좀비기업 이해하기 (문제점, 중국, 구조조정)
최근에 좀비영화나 드라마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오늘은 영화 이야기를 하는 시간은 아니고 좀비기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1. 좀비기업 제품을 생산하여 판매한 수익으로도 이자를 갚기에도 어려운 기업을 좀비기업이라고 합니다. 즉, 재정상태가 안좋은 기업입니다. [관련 게시물] 2020.11.19 - [투자와 경제/재무회계] - 재무제표 기초 공부 : 자산, 유동자산, 유동비율, 부채비율 재무제표 기초 공부 : 자산, 유동자산, 유동비율, 부채비율 투자를 하기로 마음 먹었다면 공부는 필수다. 돈을 공부하지 않고, 투자하면 돈을 잃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는 돈을 벌기 위해 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1. 자산 1) 자산 = 자본 + 부 moneypipelines.co.kr 2. 좀비기업 문제점 ..
2022.06.05 -
석유파동 : 과잉유동성의 시작 (인플레이션의 시대)
1. 석유파동 석유파동은 원유 공급의 패권을 쥐고 있는 중동 산유국들이 원유 생산량을 줄이면서 나타난 에너지 가격 급등발 물가 상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석유파동 결과 세계적인 과잉유동성의 발단은 1970년대에 발생한 두 번의 석유파동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선진각국을 중심으로 대규모 디스인플레이션 대책 예산을 투입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전후 배럴당 3달러도 안 하던 원유 가격이 제 1차 석유파동 때 10~11달러로 상승했다. 그리고 제2차 석유파동에서 30~33달러까지 치솟았다. 에너지 가격을 시작으로 물가가 급등하면서 세계 경제는 급격하게 수요가 감퇴했다. 그러자 각국은 거액의 경기 대책비를 투입했고, 그렇게 세계적인 과잉유동성이 시작되었다. 이후에도 통화가치 하락을 계기로 발생한 아시아 및 ..
2022.06.04 -
[유익한 독후감] 금융 버블 붕괴 - 사와카미 아쓰토
금융 버블 붕괴 1. 모든 버블은 반드시 무너진다. 모든 버블은 반드시 무너진다는 사실은 인류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때문에 금융 버블 그리고 경제 대붕괴에 대비하여 경계 태세를 단단히 갖춰 두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려면 우선 경제의 본질이 무엇이고 정말 안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스스로 생각해봐야 한다. 더불어 버블 붕괴로 인한 대혼란에 휩쓸리지 않도록 한시라도 빨리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생존할 방법을 찾아나서야 한다. - 사와카미 아쓰토, 금융 버블 붕괴 모든 버블은 반드시 무너집니다. 인류 최초 버블인 튤립 버블, 2000년대 IT 버블도 그랬습니다. 버블이 정확히 언제 무너질 지는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저자는 강하게 이야기 합니다. [관련 게시물] 2021.01.20 -..
2022.06.04 -
튤립 버블 이해하기 (Feat. 최초의 버블)
오늘은 3대 버블 중 하나인 튤립 버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튤립 버블 튤립 버블은 1630년대 네덜란드에서 일어났습니다. 정확한 데이터가 남아있지 않은 탓에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경제 역사상 최초의 버블이라고 알려져 있다. 튤립의 알뿌리 가격이 절정에 달한 1637년, 알뿌리 하나에 밀 160부셸(1부셸=28kg), 호밀 320부셸, 황소 4마리, 돼지 8마리, 양 12마리 외에도 와인, 맥주, 버터, 치즈는 톤 단위로 거래되었다. - 사와카미 아쓰토, 금융버블 붕괴 튤립 버블 당시에 튤립을 하나 사려면 황소 4마리를 팔아야 했습니다. 지금도 소 한 마리에 몇 백만 원 합니다. 이를 통해 당시, 버블이 얼마나 심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튤립 가격이 이렇게 올라간 것일까요? 2. ..
2022.06.04 -
마이너스 금리 이해하기 (일본, 유럽)
일본과 유럽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마이너스 금리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오늘 마이너스 금리에 대해 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1.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오해 마이너스 금리에 대한 오해가 좀 있어서 설명을 하자면, 마이너스 금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일반 은행 창구에서 적용되는 금리가 아니라는 겁니다. - 오건영, 부의 시나리오 마이너스 금리는 국민은행, 우리은행과 같은 시중은행이 고객에게 적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한 번 생각해봅시다. 당신이 1,000만 원을 은행에 맡깁니다. 그리고 1년이 지나서 돈을 찾습니다. 은행에서 돈을 990만 원만 돌려줍니다. 이러면 은행에 돈을 맡길까요? 아마, 돈을 맡기지 않을 것입니다. 2. 마이너스 금리 적용 대상 마이너스 금..
2022.06.02 -
환매조건부채권(Repurchase Agreement) 확실하게 이해하기
오늘은 환매조건부채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돈을 찍어서 국민은행, 우리은행과 같은 시중은행에 돈을 공급합니다. 그런데,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마음대로 돈을 찍는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맞습니다. 원화 가치가 하락할 것입니다. 즉, 화폐에 대한 신뢰가 하락합니다. 이런 이유에서 중앙은행도 돈을 찍을 때 담보물이 필요합니다. 지금까지 어떤 담보물이 있었을까요? 환매조건부채권 1. 금본위제 1970년대 초반까지 전 세계는 금본위제(Gold Standard)를 적용하고 있었습니다. 각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금만큼만 화폐를 발행하는 제도였죠. 그런데 금본위제는 1971년 8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고, 지금은 화폐를 발행할 때 새로운 담보를 제시하고 있죠. 그 담보가 바..
2022.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