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99)
-
왜 극소수는 일 년에 100권 이상 책을 어려움 없이 읽을까?
1. 독서 독서는 뇌의 다양한 정보원, 특히 시각과 청각, 언어의 개념영역을 기억과 감정의 부분들과 연결하고 통합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한마디로 처음 독서를 할 때는 뇌를 완전 가동해야 할 정도로 독서는 매우 부담스러운 행위인 셈이다. 독서하는 뇌는 없고 독서에 타고나는 사람은 드물다. 그런데 왜 주변의 극소수는 일 년에 100권 이상 책을 어려움 없이 읽을까? 그 이유는 뇌가소성 때문이다. 뇌는 변할 수 있다. 독서하는 뇌가 아닌데 독서하는 뇌로 변한 것이다. 실제로 숙련된 독서가는 초보 독서가들보다 더 효율적인 뇌 사용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어떻게 독서하는 뇌로 바꿀 수 있을까? 다른 방법은 없다. 오직 독서를 많이 해야 한다. 초보 독서가는 먼저 책과 친해지고 독서에 습관을 들여야 한다...
2018.10.18 -
홍콩 톱스타 주윤발, 8000억 사회에 기부
주윤발, 8000억 기부를 약속하다. 영화 '영웅본색'으로 우리나라에 잘 알려진 영화배우 주윤발이 전 재산 8,096억원을 사회에 환원합니다. 15일 홍콩언론에 따르면, 주윤발은 최근 영화 홍보차 대만 타이베이를 방문해 팬들을 만난 자리에서 전 재산을 기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아무리 부자라지만 기부가 쉬운 일이 아니기에, 정말 존경합니다. 주윤발은 오래 전부터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보다 내적 풍요로움을 중요하게 여기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내가 편한 옷을 입으면 그만이다.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옷은 선호하지 않는다. - 주윤발 주윤발은 2010년에도 세상을 떠난 뒤 재산의 99%를 사회에 기부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는 인터뷰에서 "내 꿈은 행복해지는 것이고 보통사람이 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2018.10.18 -
완벽한 공부법은 변화의 시작이다. (2편)
완벽한 공부법 제대로 소화한다면, 자기 자신을 제대로 알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는 생각보다 우리 자신에 대해 잘 모릅니다. 메타인지 1. 메타인지란? 메타인지는 1976년 미국의 발달심리학자인 존 플라벨이 만든 용어이다. 메타는 '~에 대하여'의 그리스어 표현으로 메타인지는 자신의 인지 과정에 관한 인지 능력을 말한다. 다시 말해 내가 뭘 알고 뭘 모르는지, 내가 하는 행동이 어떠한 결과를 낼 것인지에 대해 아는 능력이다. 2. 우리는 생각보다 훨씬 자신을 잘 모른다. 우리는 하루에 많은 이야기를 들으며 살아갑니다. 일상에서 흔히 하는 듣기는 쉬운 일일까요? "일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는 매일 깨어 있는 시간의 4분의 1정도를 듣는 데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우리가 이 기술을 완전히 무시한다는 ..
2018.10.17 -
일본 최고 부자 손정의 회장 재산 (비전펀드, 손실액, 투자 교훈)
1. 손정의 회장 재산 손정의 회장의 재산은 약 29조 5,460억 원입니다. 2022년 8월 기준 세계 부자 순위 66위입니다. 한국 최고 부자는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입니다. 이재용 부회장의 재산은 한화로 약 10조 4,754억 원입니다. 즉, 손정의 회장은 이재용 부회장보다 약 3배가 많습니다. 그런데, 요즘 손정의 회장이 운영하는 비전펀드에 대해 말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2. 손정의 회장 비전펀드 손실액 : 60조 원 22년 상반기 비전펀드 손실액은 약 60조 원입니다. 정말 엄청난 액수입니다. 지금까지 비전펀드가 번 돈을 다 날렸다고 합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3. 비전펀드 손실 이유 1) 꿈과 희망에 투자하여, 숫자를 보지 않는다. 즉, 감으로 투자한다는 말입니다. 꿈과 희망은..
2018.10.16 -
AI (인공지능) 지배하는 자가 미래를 지배한다.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컴퓨터 공학과 인공지능의 영향, 윤리를 가르치는 제리 카플란 교수님은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기술혁명으로 변화가 생기는 것이 분명한 만큼 종전 직무와 다른 새 기술을 익혀 일자리를 다시 찾을 수 있도록 평생교육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 제리 카플란,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1. 인공지능의 정의 인공지능은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을 의미한다. 2. 인공지능의 두 분야 인공지능 연구는 두 분야에서 크게 발전하고 있다. (1) 경험에서 배우는 시스템 인간은 받아들일 수 있는 경험의 범위와 규모가 제한되어 있지만, 이 시스템들은 무궁무진한 모범 사례를 눈 깜짝할 사이에 꼼꼼히 검토한다. 게다가 우리에게 익숙한 시각, 청각적 정보, ..
2018.10.16 -
긱 이코노미 출현 [1편]
1. 긱 이코노미 출현 긱 이코노미란 필요할 때만 계약직, 임시직, 프리랜서 등을 섭외하여 맡기는 경제형태를 말한다. (1) 긱 이코노미에 대해서는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실업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과 (2) 주로 비정규직/임시직을 늘려 고용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견해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이렇게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긱 이코노미에 대해 더 알아보자. 긱 경제는 우리가 일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세대 전만 해도 대부분의 노동자는 안정적인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일했다. 대부분의 노동자는 안정적인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일했다. 그들이 평생 몸담은 회사는 한두 개에 불과했다. 현재 은퇴한 이 세대는 소득이 계속 오를 거라는 기대 속에서 안정적인 삶을 살았다. 회사가 주는 수당과 연..
2018.10.15